우리의 먹을거리는 엄청 중요합니다. 우리의 건강에 직결되는 부분이니까 말이죠. 건강을 유지하는 방법은 크게 잘 먹고 운동하는 것입니다. 몸에 좋은 거를 많이 먹고, 꾸준히 운동하는 것이 건강을 위한 최고의 방법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먹을거리의 성분에 대해서도 민감합니다. 많은 정보들이 난무하여 혼란스럽기도 하고요.
그중에서 글루텐에 대해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글루텐이 몸에 안 좋다는 얘기는 이미 많이 퍼져있습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글루텐 프리 제품을 찾고 있습니다. 밀가루는 몸에 안 좋다는 인식이 자리 잡아 있습니다.
밀가루에는 70% 이상의 탄수화물과 10~15%의 단백질이 들어있습니다. 단백질의 대부분은 글리아딘과 글루테닌이라는 성분입니다. 밀가루에 물을 넣어 반죽하면 이 둘의 성분이 결합해서 쫄깃한 식감을 내는 '글루텐'이라는 성분이 됩니다.
밀가루를 베이스로 만든 음식들에는 과자, 빵, 시리얼, 케이크, 면류 등이 있습니다. 글루텐이 들어있는 식품은 요거트, 푸딩, 소스류, 햄, 어묵, 시럽, 맥주 등 우리의 생각보다 훨씬 많습니다.
많은 분들이 건강을 위해서 밀가루 음식을 피하고 있습니다. 과연 정확한 정보일까요?
아닙니다. 글루텐이 몸에 나쁘다는 말은 과장된 이야기입니다.
글루텐이 유해하다는 말은 밀가루 섭취 시 장내 염증이 발생하는 '셀리악 병(Celiac disease) 때문에 나오기 시작했습니다. 미국의 경우 밀가루가 주식이기에 약 1%에 나타났으나, 국내에서는 발병 사례가 보고된 바가 없습니다.
글루텐 민감성(불내증)이나 알레르기 체질에서는 빈혈이나 설사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는 있지만, 장 자체를 손상시킬 정도는 아니라고 합니다.
이젠 지나친 글루텐 혐오증에서 벗어나도 될 것 같습니다. 밀가루는 무조건 안 좋다는 인식도 바꿔야 할 것 같고요.
글루텐 프리 식품은 밀이나 호밀 등에서 글루텐을 일부러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 식품보다 가격이 비쌉니다. 글루텐이 함유된 음식을 먹고 특이한 반응을 보였다면 물론 피해야 합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그런 식품들을 먹고 별 이상이 없었다면, 굳이 글루텐 프리를 비싼 가격을 주고 찾을 필요까지는 없어 보입니다.
물론 건강식을 찾고 먹는 것은 중요하고 좋은 현상입니다. 하지만 잘못된 정보를 바로 잡는 것도 중요합니다. 과장된 공포 마케팅 때문에 불필요한 소비와 심리적으로 염려가 커진다면 더욱 큰 손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건강을 위해서 항상 정확한 정보를 찾는 것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생산적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공포심을 조장하고 과장된 마케팅에 소비자들은 불필요한 소비를 하기 때문입니다.
현명한 지혜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댓글